HDD 3개 추가 후 실습 진행

 

mdadm이 있어야 실습이 가능합니다.

 

sdb, sdc에 이전에 생성했던 파티션 설정을 그대로 하고 fd를 입력하여 raid로 설정해줍니다.

 

장치를 수동으로 만들어 줘야 합니다.

 

※ 설정값

b: block device (저장장치를 만들기 위해 무조건 b를 사용)

9 : 장치 파일을 구분하는 주 번호

0 : 장치파일을 구분하는 보조 번호

 

설정한 mdadm을 확인해줍니다.

mdadm --detail --scan 를 사용하여 md0의 메타데이터 간략 정보를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설정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.

장치 이름이 md0으로 설정했으나 재부팅 후 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설정 파일을 만들면 장치 파일명이 바뀌지 않습니다.

 

파일 시스템 설정과 마운트까지 해줍니다.

 

md0을 삭제하고 RAID를 초기화합니다.

sdd도 똑같이 파티션과 RAID 설정을 해줍니다.

 

오토 마운트 할 때 이름이 바뀌면 fstab에서 못 찾고 오류가 생기기 때문에 설정 파일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.

 

sdc를 삭제해서 오류를 발생시키면 sdd가 sdc의 역할을 하면서  sdc로 이름이 바뀝니다. lsblk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ron  (0) 2022.10.20
압축  (0) 2022.10.20
RAID (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)  (0) 2022.10.19
LVM 실습  (0) 2022.10.19
LVM (Logical Volume Manager)  (0) 2022.10.1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