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wisted(UTP/STP 케이블)

- 내부 네트워크 연결 시 사용하는 케이블

- 피복 안의 서로 다른 심선이 서로 꼬여있는 것

 

케이블 내부 심선을 꼬아 놓는 이유

- 잡음 (노이즈)를  방지하기 위해

- 케이블은 전자파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품질이 좋은 케이블일수록 접지와 차폐를 통해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 가능

- 잡음이란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과장에서 전자파의 영향을 받아 제대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

 

이미지 참조 https://linkhub.tistory.com/85

Fiber-Optic(광케이블)

- 전송되는 빛끼리는 아무런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에, 매우 빠른 속도로 신호를 보낼 수 있고, 보낸 신호의 왜곡이 (거의) 없기 때문에 구리선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르다.

- 내부 네트워크 연결은 사용하지 않는다.

- 케이블 내부에 유리관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1 직선으로 있어야 한다.

- 보통 땅속에 매설한다.

 

광케이블의 종류

1) 싱글모드 (LX)

-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만 보낼 수 있다.

- 멀리 보낼 수 있다.

 

2) 멀티모드 (SX)

- 한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.

- 멀리 보내지 못한다.

이미지 참조 https://namu.wiki/w/%EA%B4%91%EC%BC%80%EC%9D%B4%EB%B8%94

Duplex

1.Half

- 반이중통신방식

- 양쪽에서 송, 수신은 가능하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하다.

ex) 무전기

 

2.Full

- 전이중 통신방식

- 양쪽에서 송, 수신이 가능하고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.

ex) 휴대전화

 

Bandwidth(대역폭)

- 한 번에 지나다닐 수 있는 데이터의 양

- 전송속도를 의미하지 않음

-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나눠서 대역폭을 사용

- 크면 클수록 통신 효율이 좋다.

- 다중 사용자에서 대역폭이 중요하다.

 

Clock

WAN 환경 : 수동으로 맞춰줘야 한다.

LAN 환경 : 자동으로 clock시그널과 data시그널을 맞춰준다.

 

Straight케이블, Crossover케이블

Straight케이블

- 핀 배열이 서로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에 사용

 

Crossover케이블

-핀 배열이 서로 동일한 디바이스 간 연결에 사용

 

※ 핀 배열의 역할 같은 장비의 묶음

-A그룹: 라우터, 컴퓨터, 서버

-B그룹: 스위치, 허브, 브릿지, 공유기

ex) 장비의 핀 배열 구성에 따른 케이블링 (RX: 수신 / TX: 송신)

라우터 - 스위치 = Straight

라우터 - 컴퓨터 = Crossover

Auto MDIX

- 같은 그룹 간 케이블 연결을 스트레이트 케이블로 연결하여도 통신 을 지원하는 기술

 

 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v4 Classful 방식  (0) 2022.07.31
IPv4 주소  (0) 2022.07.31
1~3계층  (0) 2022.07.31
OSI 7 Layer  (0) 2022.07.26
네트워크  (0) 2022.07.19

+ Recent posts